맨위로가기

아나스타시오 소모사 가르시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나스타시오 소모사 가르시아는 1896년 니카라과에서 태어나 미국에서 유학한 후 정치에 입문하여, 1930년대 니카라과 국가경비대 사령관이 되었다. 그는 1934년 아우구스토 세사르 산디노 암살을 주도하고, 1936년 쿠데타를 통해 대통령에 취임하여 독재 정권을 시작했다. 소모사는 부정선거와 언론 탄압, 정적 제거를 통해 장기 집권하며 니카라과의 경제를 장악하고 막대한 부를 축적했다. 1956년 암살당했으며, 그의 아들들이 뒤를 이어 1979년 산디니스타 혁명으로 축출될 때까지 니카라과를 통치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니카라과의 암살된 정치인 - 아나스타시오 소모사 데바일레
    아나스타시오 소모사 데바일레는 니카라과의 독재자로, 국가경비대 사령관을 거쳐 대통령에 취임하여 반대파 탄압과 부정부패로 국제 사회의 비난을 받았으며, 1979년 축출된 후 암살당했다.
  • 카라소주 출신 - 라파엘 앙헬 칼데론 포우르니에르
    라파엘 앙헬 칼데론 포우르니에르는 코스타리카의 대통령으로, 자유주의 정책을 추진하며 경제 개혁을 단행했으나 퇴임 후 부패 혐의로 징역형을 선고받았다.
아나스타시오 소모사 가르시아 - [인물]에 관한 문서
지도
기본 정보
이름아나스타시오 소모사 가르시아
로마자 표기Anastasio Somoza García
별칭타초 (Tacho)
출생일1896년 2월 1일
출생지니카라과, 산마르코스
사망일1956년 9월 29일
사망지파나마 운하 지대, 안콘
국적니카라과
배우자살바도라 데바이레 (1919년 결혼)
자녀릴리안 소모사 데바이레
루이스 소모사 데바이레
아나스타시오 소모사 데바이레
직업정치인, 육군 장군
소속국가방위대
복무 기간?–1956년
계급준장
소속 정당국가주의 자유당
정치 경력
직책니카라과 대통령
제1차 임기
임기 시작1937년 1월 1일
임기 종료1947년 5월 1일
부통령프란시스코 나바로 알바라도
이전 대통령카를로스 알베르토 브레네스
다음 대통령레오나르도 아르구엘로 바레토
제2차 임기
임기 시작1950년 5월 21일
임기 종료1956년 9월 29일
부통령공석
이전 대통령마누엘 페르난도 수리타
다음 대통령루이스 소모사 데바이레
기타
군사 경력복무: 1956년까지
계급: 준장
이미지
아나스타시오 소모사 가르시아
1952년의 소모사

2. 초기 생애 및 교육

아나스타시오 소모사 가르시아는 1896년 니카라과 산 마르코스에서 부유한 커피 재배업자인 아나스타시오 소모사 레이예스와 줄리아 가르시아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십 대 시절 친척들과 함께 필라델피아로 유학을 떠나 피어스 경영대학에서 공부했다.[4] 필라델피아에서 그는 영어를 유창하게 구사하는 법을 배웠다.[3]

필라델피아에 머무는 동안 소모사는 니카라과에서 가장 부유한 가문 중 하나이자 루이스 앙리 데바일레 팔라이스 박사와 카시미라 사카사 사카사의 딸이며, 니카라과의 44대와 46대 대통령인 로베르토 사카사의 친척이자 그의 아내 안젤라 사카사 쿠아드라의 딸인 살바도라 데바일레 사카사를 만나 결혼했다.

3. 정치 경력

소모사는 자유주의 반란에 참여하면서 정치 경력을 시작했다. 미국에서 교육받아 영어를 유창하게 구사했기 때문에, 미국 주도의 협상에서 통역으로 활동했다. 호세 마리아 몬카다 대통령 정부에서 레온 주지사, 코스타리카 주재 니카라과 영사, 외무장관을 역임했다. 1933년 미국 해병대가 철수한 후, 후안 바우티스타 사카사 대통령은 미국의 압력으로 소모사를 국가경비대 사령관에 임명했다.[5]

3. 1. 산디노 암살

1934년, 소모사는 미국의 묵인 하에 니카라과의 민족 영웅 아우구스토 세사르 산디노를 암살했다.[6] 소모사는 평화협상 중 안전보장 협정을 위반하고 산디노 암살을 명령했다.[6] 산디노 암살 이후, 국가경비대는 산디노 지지자들을 살해했다.[7] 국가경비대는 전국에서 산디니스타(산디노 지지자) 사냥을 시작했고, 300명이 학살당했다. 사카사 대통령은 소모사를 강력히 비난했지만 더 이상의 대응은 할 수 없었다. 파시스트 단체인 "청셔츠단"은 소모사의 산디노 암살을 찬양하며 전국에서 시위를 벌였다. 이를 이용한 소모사는 계엄령을 선포하여 산디니스타 잔당을 가족까지 포함해 차례로 학살했으며, 이를 비판하는 언론인들도 납치 및 암살했다.

3. 2. 니카라과 통치

1936년 소모사는 국가경비대를 이용하여 쿠데타를 일으켜 사카사 대통령을 사퇴시켰다.[8][9][10] 그해 12월, 1936년 대통령 선거에서 압도적인 득표율로 당선되었지만, 이는 부정선거였다는 비판이 제기되었다.

선거명직책명대수정당득표율득표수결과당락
1936년 선거니카라과 대통령39대민족주의 자유당99.83%112,812표1위
1950년 선거니카라과 대통령44대민족주의 자유당75.63%153,297표1위



1936년 소모사


소모사는 "타초(Tacho)"라는 별명으로 불렸으며, 헌법을 개정하여 자신의 권력을 강화했다.[17] 가족과 측근들을 정부와 군대의 요직에 앉혀 권력을 독점했다.[17] 1939년 5월, 루스벨트 대통령은 소모사와 그의 아내 살바도라를 워싱턴 D.C.로 초청하여 국빈 방문을 환영했다.[16]

1941년 진주만 공격 이후, 소모사는 추축국에 선전포고를 하고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했다. 미국은 니카라과에 100만달러 상당의 군사 원조를 제공했고, 니카라과는 특수 경기를 누렸지만, 미국에 대한 경제적 종속은 심화되었다. 소모사 정권은 이탈리아와 독일계 사람들의 재산을 몰수하여 소모사 일가에 "매각"했고, 소모사는 니카라과 최대 커피 생산자가 되었다. 종전까지 그는 51개의 목장과 46개의 커피 농장 등 1.2억달러의 자산을 획득했다. 그러나 1944년 전쟁으로 인한 인플레이션은 소모사 일가를 제외한 국민 생활에 심각한 타격을 주었다.

1950년, 소모사는 의회 선출을 거쳐 두 번째 대통령에 취임했다.

1953년 소모사(왼쪽)와 페론(오른쪽)

3. 2. 1. 소모사의 통치 방식

소모사는 국가경비대를 이용하여 정적을 제거하고, 언론을 탄압하며, 부정선거를 통해 장기 집권을 했다.[8][9][10] 1936년 소모사는 국가경비대를 이용하여 쿠데타를 일으켜 사카사를 사퇴하게 만들었다.[8][9][10] 그해 12월에는 1936년 니카라과 대통령 선거에서 80,663표 중 64,000표를 얻어 대통령으로 당선되었다고 알려졌다.[11][12][13] 그는 1937년 1월 1일에 취임했다.[14][15] "타초(Tacho)"라는 별명으로 잘 알려진 소모사는 헌법을 개정하여 모든 권력을 자신의 손에 집중시켰다.[17] 가족 구성원과 핵심 지지자들은 정부와 군대의 주요 직책을 독점했다.[17]

그는 니카라과의 경제를 장악하여 막대한 부를 축적했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니카라과 정부는 경제적으로 영향력 있는 소규모 독일계 니카라과인 공동체의 재산을 몰수하여 소모사와 그의 가족에게 헐값에 매각했다. 1944년까지 소모사는 51개의 목장과 46개의 커피 농장뿐만 아니라 여러 설탕 공장과 럼주 증류소를 소유하며 니카라과 최대 지주가 되었다. 소모사는 마나과를 니카라과의 주요 항구인 코린토와 연결하는 태평양 철도의 책임자를 자처하며, 자신의 상품과 농작물을 무료로 운송하고 차량과 농기구를 유지 관리했다. 또한 금, 고무, 목재를 개발하기 위해 외국(주로 미국) 기업에 특혜를 부여하여 '행정 부과금'과 '대통령 수수료'를 받으면서 상당한 이익을 얻었다. 그는 수입을 제한하는 법률을 제정하고 밀수 사업을 조직하여 자신의 상점을 통해 상품을 판매했다. 또한 불법 도박, 매춘, 주류 증류로부터 뇌물을 받았다. 10년 말까지 그는 4억달러로 추산되는 재산을 축적했다.[18]

소모사는 미국의 지원을 받으며 반공주의 정책을 펼쳤다. 1944년, 미국의 압력으로 소모사는 노동조합을 합법화하고 1947년에 재선에 출마하지 않겠다고 약속했으나, 이는 지켜지지 않았다. 1947년 레오나르도 아르궤요가 대통령에 당선되었으나 소모사는 쿠데타를 일으켜 그를 축출했다.

3. 3. 두 번째 임기

1950년, 소모사는 다시 대통령에 당선되었다.[1] 그는 자신의 사업 제국을 확장하여 해운 회사, 여러 직물 공장, 국영 항공사(니카라과 국영 항공(LANICA))를 설립했다. 또한 마나과 근처 태평양 연안에 새로운 컨테이너 항구(푸에르토 소모사)를 건설하여 경제적 영향력을 강화했다. (이 항구는 산디니스타 집권 후 푸에르토 산디노로 이름이 바뀌었다.) 그는 미국과 캐나다에도 부동산을 소유했다.[2]

4. 암살

1956년 9월 21일, 아나스타시오 소모사 가르시아는 레온에서 열린 선거 유세에서 시인 리고베르토 로페스 페레스에게 총격을 받았다.[17] 소모사는 파나마 운하 지대의 병원으로 후송되었으나, 며칠 후 사망했다.[17]

5. 유산

리고베르토 로페스 페레스의 암살 이후, 소모사의 아들들인 루이스 소모사 데바일레와 아나스타시오 소모사 데바일레니카라과를 통치했다.[19] 소모사 가문은 1979년 산디니스타 혁명으로 축출될 때까지 니카라과를 독재적으로 통치하며 부정부패와 인권 탄압을 자행했다.

소모사는 미국의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이 "소모사는 개새끼일지 몰라도, 우리의 개새끼다"라고 말했다는 일화로 유명하다.[20][21] 하지만 역사가 데이비드 슈미츠에 따르면,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 도서관의 기록 보관소를 조사한 연구자들과 사서들은 루스벨트가 이러한 발언을 한 증거를 찾지 못했다.[22] 이 발언은 입증되지 않은 상태로 남아 있지만, 루스벨트와 그 이후의 대통령들은 소모사 가족의 니카라과 지배를 지지했다.[22]

참조

[1] 웹사이트 Gobernantes de Nicaragua https://web.archive.[...] Ministerio de Educación 2012-12-09
[2] 논문 U.S. Recognition of Anastasio Somoza, 1936 https://www.jstor.or[...] 1992
[3] 웹사이트 "The Deaths of Somoza," George Evans https://www.worldlit[...] 2024-12-08
[4] 서적 Perice Means Business Philadelphia Peirce
[5] 논문 U.S. Recognition of Anastasio Somoza, 1936 https://www.jstor.or[...] 1992
[6] 서적 Somoza and the Legacy of US Involvement in Central America New York: Dutton
[7] 논문 U.S. Recognition of Anastasio Somoza, 1936 https://www.jstor.or[...] 1992
[8] 웹사이트 El golpe de Estado al presidente Juan B. Sacasa https://www.laprensa[...] 2003-06-15
[9] 논문 U.S. recognition of Anastasio Somoza, 1936 1992-12
[10] 간행물 Time to End 1936-06-22
[11] 서적 Elections in the Americas A Data Handbook, Volume 1: North America, Central America, and the Caribbean Nomos Publishing
[12] 뉴스 Nicaragua Elects Gen. Somoza President— Commander of National Army Receives Nearly 3/4 Of Votes Cast in Election Baltimore Sun 1936-12-09
[13] 서적 Somoza and the Legacy of U.S. Involvement in Central America New York: Dutton
[14] 뉴스 Somoza Assumes Office; Acceptance Speech of New Nicaraguan President Well Received The New York Times 1937-01-02
[15] 서적 The End and the Beginning; The Nicaraguan Revolution
[16] 웹사이트 U.S. Relations With Nicaragua https://www.state.go[...] 2024-12-08
[17] 웹사이트 "The Deaths of Somoza," George Evans https://www.worldlit[...] 2024-12-09
[18] 웹사이트 Nicaragua Country Study: The Somoza Era, 1936–74 http://lcweb2.loc.go[...]
[19] 서적 Sandinistas: The Party and the Revolution Mass.: Basil Blackwell
[20] 웹사이트 Blood on the Border http://www.southendp[...]
[21] 웹사이트 Quiet Cleansing: Public Kept in the Dark about Talisman Lawsuit https://www.ualberta[...] 2003-09
[22] 서적 Thank God They're on Our Side: The United States & Right-Wing Dictatorships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23] 서적 Somoza and Roosevelt: good neighbour diplomacy in Nicaragua, 1933–1945 https://books.google[...]
[24] 뉴스 半世紀의 再版···美 中南美 정책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83-05-26
[25] 웹사이트 [기억할 오늘] 페드로 호아킨 차모로 (1.10) https://n.news.naver[...] 2023-07-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